융합연구 Fellowship

> 협의회사업

> 사업활동

> 융합연구 Fellowship

["2017 최종선정작"보고서 요약문] 4차 산업혁명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우리나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정…

(사)미래융합협의회 0 1433


4차 산업혁명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우리나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정책제언

한국과 영국정부의 융합연구정책 비교


The Korean Government’s Role in Responding Preemptivel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vergence R&D policy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서정화, 서정선



요약: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의제로 제시한 이후, 세계 각국의 정부부처 및 연구기관, 학자들은 기술간 융합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4차 산업혁명 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논의를 진행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현황을 파악하고 융합기술을 통한 혁신창업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오고 있는 

영국 정부의 육성 정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융합연구 활성화 및 성장환경 조성을 위한 우리나라 정부의 역할 및 육성정책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은 현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단계로 현재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기 위한 핵심 과제 선정과 예산 배분 방식측면에서 

한국의 공공연구 시스템은 중앙집권형 (Centralized archetype)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추진체계의 경우 정책 조율 기구를 기존의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위주로 구성하여 준비하고 있다

한편, 영국은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공공연구시스템의 전반적인 체계는 중앙집권형 형태를 나타내는 반면

연구 수행 측면에 있어서는 분권형(Decentralised archetype)의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적 파트너쉽과 자금조달 측면에서 영국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융합연구의 추진체계는 호혜적 상호의존형(Reciprocal independence)과 순차적 상호의존형(sequential independence)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핵심주제어 : 4차 산업혁명, 공공연구시스템, 융합연구

 




Abstract: Sinc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raised on the agenda at the World Economic Forum

 in 2016, all over the world,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have been continuing a discussion about various policies and have been seeking them strategically, 

in order to create the new growth engine on the basis of the convergence between technologies and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1) to gener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Government’s preparation for respon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 to compare the Korean and British policies on promoting the convergence R&D, and 

3) to propose the Korean Government’s role in and the policies for activating the convergence R&D and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promoting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o begin with, Korea is at the stage where the government is setting specific policy direction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garding ‘priority setting’ and ‘funding streams’, the Korean public research system seems to maintain the centralized characteristics (centralized archetype). 

Furthermore, the Korean government is preparing to establish a private organization-centered coordinating body. 

On the other hand, on the whole, the UK’s public research system seems to be ‘centralized’ (centralized archetype), even though concerning ‘research performers’, 

that of the country is likely to be ‘decentralized’ (decentralized archetype). 

 Moreover, in terms of the collaborative partnership and funding, it appears that the UK’s system contains both ‘reciprocal independence’ and ‘sequential independence’.


 

Key Word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ublic Research System, Convergence R&D


0 Comments